일곱 작가가 들려주는 반려동물 이야기. 십대에게 가장 가까운 친구이자 소중한 가족인 반려동물에 관한 일곱 편의 짧은 이야기를 모은 소설집이다. 작고 보드랍지만 때로는 한없이 크고 든든한 존재인 반려동물에 대해 개성 있는 목소리를 가진 일곱 작가가 저마다 다양한 이야기를 선보인다.
이번 소설집에는 다채롭고 기발한 이야기로 청소년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여러 청소년문학상을 수상해 문학성을 인정받으며 독자들에게도 큰 사랑을 받고 있는 최영희, 이희영, 이송현, 최양선, 김학찬, 김선희, 한정영 작가가 참여했다.
일곱 작가가 들려주는 반려동물 이야기는 개, 고양이부터 거북이, 새 나아가 상상 속의 동물까지 다양하고 폭넓게 펼쳐진다. 또 반려동물에 대해 마냥 긍정적인 모습뿐만 아니라 이면을 보여 주며 생명에 대한 존중과 책임감을 이야기한다. 이제껏 어디서도 만날 수 없었던 반려동물 이야기는 십대에게 새로운 상상력과 따뜻한 마음을 심어 줄 것이다.
2013년 『어린이와 문학』을 통해 등단했습니다. 2019년 좀비 단편소설 「침출수」가 제7회 황금가지 ZA문학상(좀비아포칼립스 문학상) 우수작에 선정되었습니다. 그 외에 제1회 한낙원과학소설상, 제8회 창비청소년문학상, 2016년 SF어워드우수상 등을 수상했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구달』 『너만 모르는 엔딩』 『슈퍼 깜장봉지』 『인간만 골라골라 풀』 『알렙이 알렙에게』 등이 있습니다.
최양선 (저자)
|
김학찬 (저자)
| 대한민국 작가
장편소설 《풀빵이 어때서?》로 제6회 창비장편소설상을 받았다. 장편소설 《굿 이브닝, 펭귄》 《상큼하진 않지만》과 《우리집 강아지》가 있다. 최명희청년문학상, 전태일문학상을 받았다.
한정영 (저자)
| 대한민국 작가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고, 같은 학교에서 연구교수를 지냈다. 지금은 서울여자대학교와 한겨레교육문화센터 등에서 동화 및 청소년 소설 에듀테인먼트 스토리텔링, 어린이 논픽션 등을 강의하고 있다. 최근 이러한 강의 경험을 토대로, 창작이론서 《어린이 논픽션 작가 수업》을 출간했다.
청소년 소설 《엘리자베스를 부탁해》, 《바다로 간 소년》, 《너희는 안녕하니?》, 《짝퉁샘과 시바클럽》, 《히라도의 눈물》, 《빨간 목도리 3호》, 《비보이 스캔들》 등을 썼다. 2017년 '어린이와 문학'에 단편 '변신 2017-서울'을 발표하여 ‘어린이와 문학상’(청소년 소설 부문)을 수상했고, 지금은 현실과 SF, 역사 등의 소재를 넘나들며 청소년 소설에서 다양한 실험을 하고 있다.
동화로는 《관을 짜는 아이》, 《진짜 선비 나가신다》, 《귀명창과 사라진 소리꾼》, 《노빈손 사라진 훈민정음을 찾아라》 등을 지었고, 《굿모닝 굿모닝?》은 2015년 초등국어활동 교과서에 실렸다.
궁극의 꿈은, 누구나 재미있게 읽을 수 있고, 언제나 따듯함이 배어나는 글을 쓸 줄 아는 ‘매직 핑거magic finger’를 갖는 것이다.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고, 같은 학교에서 연구교수를 지냈다. 지금은 서울여자대학교와 한겨레교육문화센터 등에서 동화 및 청소년 소설 에듀테인먼트 스토리텔링, 어린이 논픽션 등을 강의하고 있다. 최근 이러…
한 조사에 따르면 청소년 다섯 명 중 두 명이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있으며, 응답자 중 98%가 반려동물을 긍정적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왜 자꾸 나만 따라와』는 이처럼 청소년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반려동물을 주제로 다양한 이야기를 선보인다.
이번 소설집은 십대가 반려동물을 통해 학교, 사회, 부모로부터 받은 상처를 회복하고, 함께 성장하며 작은 생명도 소중히 여기는 감정, 누군가를 돌보며 생기는 책임감 등 긍정적인 마음을 깨닫는 과정을 그려 낸다. 이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을 둘러싼 유기 혹은 방치, 생명을 키우는 것의 어려움, 반려동물을 향한 잘못된 시선 등의 문제를 다루며 이면을 함께 제시한다.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십대는 물론, 관심은 있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아 그럴 수 없는 십대까지 모두에게 깊은 공감을 줄 수 있는 이야기를 소설집으로 묶었다. 이제 애완이 아닌 반려로 불리며 가족이자 친구의 역할을 하는 반려동물에 대한 이야기로 작은 생명, 나아가 작은 그 무엇이라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길러 주고, 긍정적인 마음과 함께 책임감 또한 키워갈 수 있도록 도와주고자 한다.
“우린 늘 네 곁에 있을 거야.
그러니 절대 걱정하지 마.”
최영희의 「누덕누덕 유니콘」은 반려동물보다 한층 더 밀접한 존재인 공생동물을 다룬 미래의 이야기다. 재하는 모두의 부러움을 사는 유니콘 대신 아무도 고르지 않는 퍼슬이 자신의 공생동물이라 불만이었지만, 자신을 생각하는 퍼슬의 마음을 읽으며 공생동물의 의미를 새롭게 깨우친다.
이희영의 「피라온」은 주인으로부터 버림받은 경험이 있는 강아지 송이가 등장한다. 송이의 마음을 열기 위한 미르와 가족의 노력을 통해 생명을 대하고 키울 때는 결코 가볍지 않은 책임감이 필요하다는 것을 배울 수 있다.
이송현의 「스위치, ON」는 캐나다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이국적인 분위기의 이야기다. 계속된 인종차별과 편견에 지칠 대로 지친 다온이 장애를 가졌지만 포기하지 않고 바다로 나아가는 거북이를 만나며 새롭게 마음을 다져 간다.
최양선의 「냄새로 만나」는 혼자서 외롭게 자취를 하고 있는 서진이 우연히 이웃집 강아지 만나를 하루 동안 돌보며 일어나는 일을 담았다. 작지만 나름의 존재감을 뽐내는 만나와 함께 지내면서 서진도 자신의 존재감을 찾고자 한다.
김학찬의 「고양이를 찾」은 어느 날 갑자기 집 앞에 나타난 고양이를 집 안으로 들이며 벌어지는 일을 담은 이야기다. 1인칭 주인공 시점으로 화자가 처음 고양이를 들였을 때의 마음과 날이 갈수록 바뀌는 고양이에 대한 감정이 잘 드러나 있다.
김선희의 「시벨」은 가정에서도 학교에서도 늘 혼자 지내는 찬구가 고양이를 만나며 마음을 열고 새로운 감정을 깨달아 가는 이야기다. 집, 학교 양쪽에서 곤란한 상황에 처하지만 찬구는 고양이와 함께하는 새로운 삶을 꿈꾼다.
한정영의 「돌아온 우리의 친구」는 인간의 필요에 따라 유전자 배합으로 만들어지는 반려동물 캐냥이에 대한 이야기다. 반려동물이 주인의 취향에 따라 만들어지고 버려지는 미래 시대의 모습을 통해 반려동물에 대한 책임감을 더욱 부각시켜 준다.
이처럼 이번 소설집은 단순히 십대와 반려동물의 만남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서로가 서로에게 특별한 존재가 되어 가는 과정을, 교감이 주는 따스함과 그에 따른 책임감 등을 말하고 있다.
누구보다도 작고 보드라운 존재이자
한없이 크고 든든한 존재에게
한 조사에 따르면 청소년 다섯 명 중 두 명이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있으며, 응답자 중 98%가 반려동물을 긍정적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왜 자꾸 나만 따라와』는 이처럼 청소년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반려동물을 주제로 다양한 이야기를 선보인다.
이번 소설집은 십대가 반려동물을 통해 학교, 사회, 부모로부터 받은 상처를 회복하고, 함께 성장하며 작은 생명도 소중히 여기는 감정, 누군가를 돌보며 생기는 책임감 등 긍정적인 마음을 깨닫는 과정을 그려 낸다. 이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을 둘러싼 유기 혹은 방치, 생명을 키우는 것의 어려움, 반려동물을 향한 잘못된 시선 등의 문제를 다루며 이면을 함께 제시한다.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십대는 물론, 관심은 있지만 상…
작성된 미니리뷰가 없습니다.